1. lsof 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열려있는 파일을 보는 유틸.
시스템에서 구동되고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열려진 파일을 확인한다.
unix, linux 계열은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소켓등도 파일로 관리함으로 losf로 모니터링이 가능함.
2. lsof 명령어 옵션
1) lsof 각 컬럼에 대한 정의+
COMMAND |
프로세스와 관련된 UNIX COMMAND 이름 |
PID (Process IDentification number) |
프로세스 넘버 |
USER |
해당 프로세스를 소유한 사용자 ID 또는 LOGIN NAME |
FD |
File Descriptor number ex) cwd : current working directory r : rread access / w : write access / u : read and write access |
TYPE |
햬당 파일과 관련한 노드 타입 ex) inet : Internet domain socket |
DEVICE |
device number |
SIZE SIZE/OFF OFFSET |
파일이나 파일 offset 사이즈 |
NODE |
로컬파일의 노드 넘버나 인터넷 프로토콜 타입, 또는 서버 호스트의 NFS File 의 inode number |
NAME
|
햬당 파일이 소속된 마운트 포인트나 inode number |
2) losf 옵션
# lsof [파일명] : 해당 파일을 엑세스하는 프로세서 확인
# lsof [디렉터리] : 해당 디렉터리를 엑세스하는 프로세서 확인
# losf -i : 열려있는 소켓 확인
# lsof -i TCP : 열려있는 TCP 소켓 확인
# lsof -i UDP : 열려있는 UDP 소켓 확인
'서버 & 시스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단축키 (0) | 2019.10.08 |
---|---|
메일 클라이언트 mutt (0) | 2019.08.23 |
메일서버 이용 시 가상서버 사용자 설정 (0) | 2019.02.25 |
Centos 7 APM 설치 (apache, php, mysql) (0) | 2019.02.15 |
Lazarus 설치 (0) | 2019.02.13 |